카미유 피사로는 인상주의 운동에서 가장 연장자였고 가장 인상주의적인 방법을 고수했다. 그가 그린 햇빛이 비치는 파리의 거리가 주는 인상을 본 사람들은 그에게 화를 냈다. 거리를 걷고 있는 자기 모습이 다리와 눈, 코도 없이 그저 형태도 알 수 없는 작은 점처럼 보인다는 것을 받아들일 수 없었던 것이다. 사실 사람들의 눈을 가린 것은 인체에 속한 부분들에 대한 기존의 지식이었다. 대중이 인상주의 그림을 감상하는 방법을 알기까지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했고, 인상주의자들은 몇 걸음 물러서서 그림을 보다 어느 순간 그 혼란스러운 색점들이 생기를 띠는 그 순간의 기적을 관객에게 전달하고자 했다.
인상주의자들의 승리
화가들은 자신들이 가지게 된 자유와 능력이 가슴 벅찰 정도였기 때문에 그들에게 쏟아진 조소와 적의에도 의연할 수 있었다. 이젠 자신을 둘러싼 세계 곳곳에 그림의 주제가 될 만한 것들이 가득했다. 원한다면 그 어떤 장소에서도 미술가는 자신이 받은 인상을 캔버스 위에 옮길 수 있었고, 과거의 낡아빠진 고정관념들은 모두 연기처럼 사라져버렸다. 인상주의자들의 투쟁이 힘겨웠음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관점들이 너무 빨리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졌다는 것은 제법 놀라운 일이다. 그들의 승리는 완벽했고, 그들 중 모네와 르누아르와 같은 화가들은 이런 승리의 결실을 충분히 즐길 수 있을 만큼 오래 살기도 했다. 그들은 자기 작품이 사람들 사이에서, 가치가 점점 올라가는 모습을 목격했다. 이러한 변화는 미술가와 비평가들에게 각자 다른 의미의 깊은 인상을 남겼다. 인상주의자들을 향한 조소와 비난이 완전히 잘못된 것이었다는 것이 밝혀진 순간, 비평의 권위는 다시 회복할 수 없을 정도의 나락으로 떨어졌다. 그리고 인상주의자들의 투쟁은 전설이 되어, 새로운 미술 운동을 일으키려는 모든 혁신자의 본보기가 되어주었다.
승리의 조력자들
사실 이 정도로 인상주의자들의 승리가 빠르고 철저할 수 있었던 것은, 19세기 사람들이 세계를 다른 시각으로 볼 수 있도록 도와준 이 두 가지 덕분이었다. 그중 하나는 사진술로, 발명된 초기에는 주로 초상용에 이용되었다. 휴대용 카메라와 스냅 사진의 발전은 인상주의자들의 회화가 등장하던 시기와 일치한다. 카메라를 통해 우연한 광경과 예기치 않은 각도가 주는 매력을 알게 된 데다, 기계가 더 훌륭하게 할 수 있는 일을 굳이 그림으로 그릴 필요가 없었기에 미술가들은 좀 더 심도 있는 탐색과 실험에 몰두했다. 과거 대상의 외관을 영구히 보전하여 기록했던 미술의 역할을 이제 19세기의 사진술이 넘겨받게 된 것이다. 이제 화가인 친구를 돕고자 하는 사람 외에 자신의 초상화를 남기려고 수고하려는 사람은 없었다. 그 결과 미술가들은 새로운 영역을 찾아야만 했다.
나머지 하나는 일본의 채색 목판화였다. 일본의 미술은 약 1000년 동안 중국 미술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지만 18세기의 일본 미술가들은 유럽 판화를 접하며 극적으로 변했다. 그들은 동양 미술의 전통적인 소재가 아닌 하층민의 생활 장면을 채색 목판화를 위한 주제로 선택했다. 채색 목판화는 최고의 장인이 가진 완벽한 기교와 대담한 의도가 결합한 것이었지만 일본인 감식가들은 이런 값싼 작품들을 낮게 평가했다. 19세기 중반, 일본이 유럽과 미국으로부터 교역을 강요받았을 시기에 이러한 판화들은 물건을 싸는 포장지나 빈 곳을 메우는 종이로 자주 사용되었는데, 마네 주변의 화가들은 그 판화의 아름다움을 일찍이 알아보고 수집하기 시작했다. 일본 판화는 그들에게 인식하지도 못한 유럽적 인습이 얼마나 많이 남아있는지 깨닫게 했다. 사물의 우연적이고 파격적인 면을 즐겨 표현한 일본의 그림은 유럽 회화의 기본적인 규칙들을 완전히 무시하고 있었다. 그림은 항상 장면의 모든 부분을 다 보여주어야 한다는 시각에 대한 지배적인 인습이 남아있었던 그들에겐 당연히 일본의 그림이 충격적일 수밖에 없었다.
◎ 참고도서 - 서양미술사, 곰브리치
'미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C 후반 유럽 미술과 아르 누보 (0) | 2022.05.30 |
---|---|
19C 분야와 지역을 넘어 전파된 인상주의 (0) | 2022.05.30 |
19C 소재의 자유와 인상주의의 평가 (0) | 2022.05.27 |
19C 채색의 혁명과 인상주의자들 (0) | 2022.05.26 |
19C 인습의 타파와 사실주의의 결실 (0) | 2022.05.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