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9

18C 신교와 영국의 엄격한 건축 규칙 신교와 가톨릭의 교회 건축의 차이 유럽의 가톨릭 국가에서는 1700년을 전후한 시기에 바로크 운동이 절정에 달해 있었고, 신교 국가 역시 이 바로크 유행에 마냥 무관심할 수는 없었지만, 그것을 실제로 채택하지는 않았다. 심지어 영국의 왕정복고 시대, 스튜어트 왕조가 프랑스 쪽으로 기울어 청교도적인 취향과 세계관을 싫어했던 때조차 그랬다. 이 시기, 영국이 낳은 가장 위대한 건축가는 크리스토퍼 렌 경으로, 그는 1666년에 대화재를 입은 런던의 교회당들을 재건하는 임무를 맡았다. 렌의 세인트 폴 대성당은 보로미니의 교회당처럼 중앙의 둥근 지붕과 양쪽의 탑, 고대 신전의 정면을 연상시키는 정면 현관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그 규모가 훨씬 크다. 확실히 둘 사이엔 유사성이 있고, 특히 2층의 그렇다. 하지만 이 .. 2022. 5. 16.
17C 말~18C 초 바로크와 로코코의 유행 17세기 유럽의 왕과 영주들도 로마 교회가 인간에게 감명을 주고 인간의 마음을 압도하는 예술의 힘을 발견한 것처럼 그들의 권력을 과시해 민중의 마음을 지배하고 싶어 했다. 또한 자신이 평범한 인간들보다 높은 자리에 있는, 신권에 의해 받들어진 다른 종류의 인간임을 보여주고자 했다. 특히 17세기 말의 가장 강력한 통치자였던 프랑스의 루이 14세는 왕권의 화려함과 영화를 과시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정책을 수립했다. 베르니니를 파리로 초빙하여 왕궁을 짓는 데 도움을 받으려는 계획은 무산되었으나 그의 또 다른 궁전은 절대 권력의 상징이 됐다. 바로 1660~1680년경에 세워진 베르사유 궁전이다. 바로크 양식과 건물 베르사유가 바로크 양식에 포함되는 것은 그 장식적인 세부 때문이 아니라 그 엄청난 규모 때문이다.. 2022. 5. 15.
17C 말~18C 바로크 양식의 완성과 베르니니 16세기 후반, 바로크 양식은 델라 포르타가 설계한 예수회 교단의 교회에서 시작되었고, 그는 더욱 많은 다양성과 인상적인 효과를 살리기 위해 소위 고전적인 건축의 규칙을 무시했다. 예술은 일단 이러한 길에 들어서면 계속해서 그 길로 나아가게 된다. 다양하고 인상적인 효과가 중요한 것으로 간주함에 따라 그 이후의 미술가들은 계속에서 그 인상적인 효과를 만들어내기 위해 더 복잡한 장식과 아이디어를 고안해내야만 했다. 그렇게 17세기 전반의 이탈리아에서는 건물과 그 장식에 대해 새롭고 눈부신 구상들이 하나둘 축적되어 17세기 중엽, 바로크 양식은 완전하게 발전하게 되었다. 바로크 양식의 파격 유명한 건축가인 프란체스코 보로미니가 건립한 전형적인 바로크 양식의 교회당을 보면 그가 채용한 것은 사실 르네상스 형태.. 2022. 5. 14.
17C 네덜란드 미술 속 램브란트의 위상 렘브란트는 그리스 사람들이 영혼의 활동이라고 부르던 것에 대해 신비스러울 정도의 지식을 가지고 있었던 듯하다. 그는 셰익스피어가 그랬듯, 갖은 인간의 마음 속에 들어갔다가 나온 것처럼 주어진 상황에서 사람들이 어떤 식으로 행동하는지를 알고 있었다. 이 천부적인 재능으로 인해 그가 그린 성경 이야기의 그림은 같은 종류의 이전 세대의 그림과는 판이할 수 있었다. 램브란트는 신앙심이 싶었기에 성경의 이야기를 구현하는데 자신이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했다. 렘브란트가 구현한 성경 이야기들 성경 속 무자비한 하인의 이야기를 묘사한 소묘를 보면 별다른 설명 없이도 이 그림을 이해하는 데 문제가 없다는 걸 알 수 있다. 분주한 회계사와 위엄 있는 주인, 그리고 죄송스러워하는 하인의 관계를 몇 개 안 되는 선으로 훌륭하.. 2022. 5. 13.
17C 전문화 경향과 렘브란트의 자화상 16세기에 북유럽에서 시작된 전문화 경향은 17세기에 들어서 더 극단적으로 되었다. 자기의 전문 분야에서 가끔 감탄을 불러일으키는 완벽한 그림을 그려내기도 한 그들은 진짜 전문가들이었다. 자신의 분야에서만큼은 더욱 훌륭한 화가라도 부끄럽게 만들 수 있을 만큼 뛰어났기 때문이다. 바다 풍경을 전문으로 그렸던 화가 중 한 사람인 지몬 데 블리헤르의 작품을 보면 네덜란드 화가들이 바다의 분위기를 얼마나 놀랄 만큼 단순하고 솔직한 방식으로 표현했는지를 알 수 있다. 미술사상 최초로 하늘의 아름다움을 발견한 네덜란드 화가들은 그림을 흥미롭게 만들기 위해 극적으로 시선을 끄는 것이 불필요하다고 여겼다. 눈에 보이는 그대로의 세계 한 부분을 그리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만족스러울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이다. 얀 반.. 2022. 5. 12.
17C 네덜란드 미술과 초상화의 발달 유럽이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로 나뉘어 대립하게 되자 네덜란드와 같은 작은 나라의 미술에도 그 영향이 미쳤다. 오늘날 우리가 벨기에라고 부르는 네덜란드의 남부 지역은 그 당시 가톨릭으로 남아 있었으나 네덜란드의 북쪽 지방 사람들은 그들을 지배하는 스페인의 가톨릭 군주에게 대항해 반란을 일으켰다. 북쪽의 주민들은 대부분 신교를 믿었고 국경 너머 가톨릭을 믿는 나라와 취향이 아주 달랐다. 이들은 영국의 청교도들과 흡사한 태도를 가지고 있었는데, 경건하고 근면 절약하여 호사스러운 남쪽 지역의 허식을 싫어했다. 17세기, 바로크 양식이 유럽의 가톨릭 국가들을 휩쓸었을 때도 네덜란드의 시민들은 그 유행을 거부했으며 수수하고 절제된 양식을 선호했다. 신교의 승리는 건축보다 회화에서 더 두드러졌는데 중세 유럽 중 미술.. 2022. 5.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