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술59

17C 말~18C 바로크 양식의 완성과 베르니니 16세기 후반, 바로크 양식은 델라 포르타가 설계한 예수회 교단의 교회에서 시작되었고, 그는 더욱 많은 다양성과 인상적인 효과를 살리기 위해 소위 고전적인 건축의 규칙을 무시했다. 예술은 일단 이러한 길에 들어서면 계속해서 그 길로 나아가게 된다. 다양하고 인상적인 효과가 중요한 것으로 간주함에 따라 그 이후의 미술가들은 계속에서 그 인상적인 효과를 만들어내기 위해 더 복잡한 장식과 아이디어를 고안해내야만 했다. 그렇게 17세기 전반의 이탈리아에서는 건물과 그 장식에 대해 새롭고 눈부신 구상들이 하나둘 축적되어 17세기 중엽, 바로크 양식은 완전하게 발전하게 되었다. 바로크 양식의 파격 유명한 건축가인 프란체스코 보로미니가 건립한 전형적인 바로크 양식의 교회당을 보면 그가 채용한 것은 사실 르네상스 형태.. 2022. 5. 14.
17C 네덜란드 미술 속 램브란트의 위상 렘브란트는 그리스 사람들이 영혼의 활동이라고 부르던 것에 대해 신비스러울 정도의 지식을 가지고 있었던 듯하다. 그는 셰익스피어가 그랬듯, 갖은 인간의 마음 속에 들어갔다가 나온 것처럼 주어진 상황에서 사람들이 어떤 식으로 행동하는지를 알고 있었다. 이 천부적인 재능으로 인해 그가 그린 성경 이야기의 그림은 같은 종류의 이전 세대의 그림과는 판이할 수 있었다. 램브란트는 신앙심이 싶었기에 성경의 이야기를 구현하는데 자신이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했다. 렘브란트가 구현한 성경 이야기들 성경 속 무자비한 하인의 이야기를 묘사한 소묘를 보면 별다른 설명 없이도 이 그림을 이해하는 데 문제가 없다는 걸 알 수 있다. 분주한 회계사와 위엄 있는 주인, 그리고 죄송스러워하는 하인의 관계를 몇 개 안 되는 선으로 훌륭하.. 2022. 5. 13.
17C 전문화 경향과 렘브란트의 자화상 16세기에 북유럽에서 시작된 전문화 경향은 17세기에 들어서 더 극단적으로 되었다. 자기의 전문 분야에서 가끔 감탄을 불러일으키는 완벽한 그림을 그려내기도 한 그들은 진짜 전문가들이었다. 자신의 분야에서만큼은 더욱 훌륭한 화가라도 부끄럽게 만들 수 있을 만큼 뛰어났기 때문이다. 바다 풍경을 전문으로 그렸던 화가 중 한 사람인 지몬 데 블리헤르의 작품을 보면 네덜란드 화가들이 바다의 분위기를 얼마나 놀랄 만큼 단순하고 솔직한 방식으로 표현했는지를 알 수 있다. 미술사상 최초로 하늘의 아름다움을 발견한 네덜란드 화가들은 그림을 흥미롭게 만들기 위해 극적으로 시선을 끄는 것이 불필요하다고 여겼다. 눈에 보이는 그대로의 세계 한 부분을 그리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만족스러울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이다. 얀 반.. 2022. 5. 12.
17C 네덜란드 미술과 초상화의 발달 유럽이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로 나뉘어 대립하게 되자 네덜란드와 같은 작은 나라의 미술에도 그 영향이 미쳤다. 오늘날 우리가 벨기에라고 부르는 네덜란드의 남부 지역은 그 당시 가톨릭으로 남아 있었으나 네덜란드의 북쪽 지방 사람들은 그들을 지배하는 스페인의 가톨릭 군주에게 대항해 반란을 일으켰다. 북쪽의 주민들은 대부분 신교를 믿었고 국경 너머 가톨릭을 믿는 나라와 취향이 아주 달랐다. 이들은 영국의 청교도들과 흡사한 태도를 가지고 있었는데, 경건하고 근면 절약하여 호사스러운 남쪽 지역의 허식을 싫어했다. 17세기, 바로크 양식이 유럽의 가톨릭 국가들을 휩쓸었을 때도 네덜란드의 시민들은 그 유행을 거부했으며 수수하고 절제된 양식을 선호했다. 신교의 승리는 건축보다 회화에서 더 두드러졌는데 중세 유럽 중 미술.. 2022. 5. 11.
17C 전반 루벤스와 생명력, 그의 영향 생명력과 활력을 부여하는 붓질 사실 교회나 유럽의 왕이나 군주로부터 새로운 주문을 받으면 그는 채색을 한 작은 스케치만을 그리고는 했다. 그런 스케치에 담긴 구상을 큰 화폭으로 옮기는 일은 그의 제자들이나 조수들이 할 일이었기 때문이다. 스승의 구상대로 그들이 밑그림을 그리고 채색을 마치면 루벤스는 그제야 붓을 들고 손질했다. 그는 자신의 손길이 닿으면 그림에 생기가 돈다고 확신했는데 마술사와 같은 그의 솜씨는 모든 것을 생기발랄하고 살아 숨 쉬는 것으로 만드는 강력한 힘이 있었다. 그것이 바로 루벤스 예술의 핵심이었다. 그의 간단한 소묘 작품이나 재미 삼아 그린 그림에서도 이런 그의 완벽한 기량이 확실히 드러난다. 루벤스의 딸을 그린 그림으로 추정되는 그림을 보면 단순한 소녀의 정면 초상임에도 불구하고.. 2022. 5. 10.
17C 전반 전원 풍경의 인기와 루벤스의 예술 회고적이며 아름다운 그림 아카데믹한 거장 중에서 가장 위대한 사람이라면 프랑스 화가 니콜라 푸생을 꼽을 수 있을 것이다. 그는 로마를 제2의 고향으로 삼고, 정열적으로 고전 시대의 조각상들을 연구했다. 순수하고 장엄했던 고대 도시들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연구에 기반한 아름다움을 통해 전달하고자 한 것이다. 이런 부단한 노력으로 만들어낸 유명한 작품 중 하나는 조용하고 햇빛으로 가득 찬 남국의 풍경을 묘사하고 있는데 무덤을 둘러싸고 묘비명을 읽는 인물들의 두려움과 경이적인 몸짓, 그리고 이 인물들의 움직임이 어우러진 회고적인 정경이 무척이나 인상적이다. 그림의 전체 구도는 아주 단순해 보이지만 사실 그 단순함은 심오한 미술적 지식에 기반하고 있다. 이런 회고적이고 아름다운 분위기를 표현한 작품으로 유명한 .. 2022. 5. 9.